국내 배터리 4대 기업과 현대차, 중소기업, 지자체, 연구기관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위한 대 규모 연합을 시작했다.
[REOB 리서치_에너지분야]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 참여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본격 가동
국내외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 속에 전기차 보급이 크게 늘면서 폐배터리 수도 급증하고 있 다.
이에 폐배터리 시장 개척을 위한 완성차와 배터리, 재활용 업체 간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라남도가 주관하는 '전기차(EV)·에너지저장장치(ESS)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사업이 다음 달 1일부터 본격화한다. 이번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 민관 협의체 로, 국내 완성차·배터리·재활용 업계가 대규모로 연합한 것은 처음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사업에는 현대차, 삼성SDI,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4대 그룹이 참여했다.
우진산전, 인셀, 원광전력, 성일하이텍, 평산전력기술, 어스텍, 지엠티코리아, 바이오코엔 등 배터리 및 폐자원 관련 중소기업 7곳도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 나주시, 한국전지산업협회, 한 국전지연구조합, 녹색에너지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제주테크노파크, 목포대학교 등 지자체와 연구기관 등도 동참한다. 이들은 이달 말 나주 혁신산업단지에 완공될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센터'를 거점으로 폐배 터리의 재사용-재제조-재활용 일원화 시스템 구축과 응용제품 개발, 실증 등 공동 연구·개발(R&D) 를 진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재사용·재제조 관련 장비 구축 ▲사용 후 배터리 시 험 평가 방법 및 해체·분류 공정 확보 ▲배터리 재사용·재제조 제도적 기반 및 산업화 기반 확보 등을 추진한다.
폐배터리 활용 방식
폐배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재사용'은 사용 후 배터리를 다른 용도로 다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배터리는 초기 대비 70~80% 수준으로 용량이 떨어지면 교체하는데, 이를 에너지저장장치(ESS)나 무정전전원장치(UPS)로 재사용할 수 있다. 모듈이나 셀을 해체하는 과정이 없어 안전하고, 추가 비용도 적어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들이 신규 사업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
'재활용'은 폐배터리를 셀 단위에서 분해해 코발트, 리튬 등 희유금속을 추출해 신규 배터리 제조에 활용하거나 타 산업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하고 수급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재제조'는 사용한 배터리나 부품을 수리해 새제품의 성능으로 되돌리는 방식이다.
각 기업의 폐배터리 로드맵
국내 기업들의 경우, 현대자동차는 ESS 실증사업을 통해 전기차 폐배터리를 ESS로 배치하는 로드 맵을 수립했다.
2차전지 제조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현대자동차, KST 모빌리티와 협업해 배터리 를 확보하고 전기차 충전 ESS로 재제조하는 사업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완성차 업체들은 소비자와 배터리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형 배터리를 신형 배터리로 교환 해주거나, 전기차 배터리 리스 정책을 통해 자사 전기차 폐터리 확보에 나서고 있다.
2차전지 기업들은 배터리 제조기업 등은 다양 기업들과 리사이클링 협약과 배터리 재사용 관련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으로 전기차 폐배터리 수거 경로를 다각화하고 있다. 에너지 기업들도 전기차 기 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폐배터리 공급체계 구축하고 이를 재사용 및 재활용하는 사업에 뛰어 들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안전 인증, 표준 마련
폐배터리의 활용 가능성은 높게 평가되고 있지만, 여전히 안전성에 대한 인증 기준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배터리를 회수,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성이 주요 해결 과제다.
올해 초부터 발생한 ESS 관련 화재로 안전 기준과 규제 강화가 예고됐다. 정부는 앞선 조사에 서 배터리 운영·관리 미흡을 원인으로 꼽았고, 전기 요금 할인,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 치 혜택 등을 대폭 축소했다.
실제로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서 ESS 시장도 정체된 상태다. 상반기 내에 마련될 예정인 정부 규제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전기차 폐배터리의 효율적 확보와 관리를 위한 분해 시설, 폐배터리의 잔존가치 중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성능평 가 툴과 기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김종성, "2040년 68조원 규모" 4대 그룹 눈독…폐배터리 시장 공략 속도, 아이뉴스24 https://www.inews24.com/view/1469345
-조수빈, ”돈 되는 폐배터리, 안정성 확보 과제 넘어야”, 한경ESG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3031607i
-정종훈, “쏠쏠한 돈 되는 전기차 폐배터리…여기 거치면 전기자전거 부활”, 중앙일보 https://news.nate.com/view/20220411n01452?mid=n0100
국내 배터리 4대 기업과 현대차, 중소기업, 지자체, 연구기관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위한 대 규모 연합을 시작했다.
[REOB 리서치_에너지분야]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 참여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본격 가동
국내외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 속에 전기차 보급이 크게 늘면서 폐배터리 수도 급증하고 있 다.
이에 폐배터리 시장 개척을 위한 완성차와 배터리, 재활용 업체 간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라남도가 주관하는 '전기차(EV)·에너지저장장치(ESS)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사업이 다음 달 1일부터 본격화한다. 이번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 민관 협의체 로, 국내 완성차·배터리·재활용 업계가 대규모로 연합한 것은 처음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지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사업에는 현대차, 삼성SDI,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4대 그룹이 참여했다.
우진산전, 인셀, 원광전력, 성일하이텍, 평산전력기술, 어스텍, 지엠티코리아, 바이오코엔 등 배터리 및 폐자원 관련 중소기업 7곳도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 나주시, 한국전지산업협회, 한 국전지연구조합, 녹색에너지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제주테크노파크, 목포대학교 등 지자체와 연구기관 등도 동참한다. 이들은 이달 말 나주 혁신산업단지에 완공될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센터'를 거점으로 폐배 터리의 재사용-재제조-재활용 일원화 시스템 구축과 응용제품 개발, 실증 등 공동 연구·개발(R&D) 를 진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재사용·재제조 관련 장비 구축 ▲사용 후 배터리 시 험 평가 방법 및 해체·분류 공정 확보 ▲배터리 재사용·재제조 제도적 기반 및 산업화 기반 확보 등을 추진한다.
폐배터리 활용 방식
폐배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재사용'은 사용 후 배터리를 다른 용도로 다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배터리는 초기 대비 70~80% 수준으로 용량이 떨어지면 교체하는데, 이를 에너지저장장치(ESS)나 무정전전원장치(UPS)로 재사용할 수 있다. 모듈이나 셀을 해체하는 과정이 없어 안전하고, 추가 비용도 적어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들이 신규 사업 모델로 검토하고 있다.
'재활용'은 폐배터리를 셀 단위에서 분해해 코발트, 리튬 등 희유금속을 추출해 신규 배터리 제조에 활용하거나 타 산업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하고 수급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재제조'는 사용한 배터리나 부품을 수리해 새제품의 성능으로 되돌리는 방식이다.
각 기업의 폐배터리 로드맵
국내 기업들의 경우, 현대자동차는 ESS 실증사업을 통해 전기차 폐배터리를 ESS로 배치하는 로드 맵을 수립했다.
2차전지 제조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은 현대자동차, KST 모빌리티와 협업해 배터리 를 확보하고 전기차 충전 ESS로 재제조하는 사업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완성차 업체들은 소비자와 배터리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형 배터리를 신형 배터리로 교환 해주거나, 전기차 배터리 리스 정책을 통해 자사 전기차 폐터리 확보에 나서고 있다.
2차전지 기업들은 배터리 제조기업 등은 다양 기업들과 리사이클링 협약과 배터리 재사용 관련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으로 전기차 폐배터리 수거 경로를 다각화하고 있다. 에너지 기업들도 전기차 기 업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폐배터리 공급체계 구축하고 이를 재사용 및 재활용하는 사업에 뛰어 들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안전 인증, 표준 마련
폐배터리의 활용 가능성은 높게 평가되고 있지만, 여전히 안전성에 대한 인증 기준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배터리를 회수,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성이 주요 해결 과제다.
올해 초부터 발생한 ESS 관련 화재로 안전 기준과 규제 강화가 예고됐다. 정부는 앞선 조사에 서 배터리 운영·관리 미흡을 원인으로 꼽았고, 전기 요금 할인,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 치 혜택 등을 대폭 축소했다.
실제로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서 ESS 시장도 정체된 상태다. 상반기 내에 마련될 예정인 정부 규제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전기차 폐배터리의 효율적 확보와 관리를 위한 분해 시설, 폐배터리의 잔존가치 중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성능평 가 툴과 기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김종성, "2040년 68조원 규모" 4대 그룹 눈독…폐배터리 시장 공략 속도, 아이뉴스24 https://www.inews24.com/view/1469345
-조수빈, ”돈 되는 폐배터리, 안정성 확보 과제 넘어야”, 한경ESG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3031607i
-정종훈, “쏠쏠한 돈 되는 전기차 폐배터리…여기 거치면 전기자전거 부활”, 중앙일보 https://news.nate.com/view/20220411n01452?mid=n0100